화우테크 (045890)
【 개요 】
- 회사명 : 화우테크놀러지주식회사
- 대표이사 : 유 영 호
- 본점소재지 :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삼정동364 부천테크노파크 102/802
- 홈페이지 : http://www.fawoo.co.kr/
- 전화번호 : 032-621-1414
【 사업의 현황 】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CNC 공작기계 산업시장
공작기계산업은 기계공업은 물론 전체산업발전을 주도하는 정밀기계, 전자, 신소재등 첨단 신기술 복합체의 핵심 설비산업입니다. 모든 산업 특히, 자동차 및 기계류 제품의 품질향상, 생산성향상, 기술발달을 좌우하는 필수적인 첨단산업입니다.
공작기계산업중 자동차산업에서 사용되는 공작기계가 국내 총수주의 1/3 이상을 점유하여 여전히 공작기계수요를 견인하고 있으며, 최근에 가전, 반도체 제조업등 관련수요업계의 설비수요 증가로 성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과거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의 변화로 보다 다양한 수요자가 생겼으며 그것을 뒷받침하기 위한 생산량의 증가로 이어져 디지털 가전 분야 특히 TV 및 휴대폰 등은 수년 동안 끝없는 발전을 해왔습니다. 더욱이 좀 더 다양한 고객의 요구를 맞추기 위한 제품 개발로 인해 제조 설비에 필요한 CNC가공기에 대한 수요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가 이루어져 왔습니다
디지털TV 및 휴대폰등 디지털 가전분야 관련 부품 시장은 계속해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앞으로 이 분야와 더불어 좀 더 다양한 디지털 제품군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이러한 산업이 바탕이 되어 다양한 소비 형태가 이루어질 것이며 소비 방법 또한 빠르게 변화하여 사용하고 있는 제품의 교환 시기가 앞당겨져 예상보다 많은 소비가 이루어질것으로 예상합니다. 그만큼 소비가 많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생산량의 증가로 이어지고 이로 인해 부품 제조와 관련한 CNC가공장비의 수요증가로 매출 또한 큰 폭의 증가가 예상됩니다. 또한 디지털 제품군의 디자인 변경이 가속화됨으로써 관련 부품의 소재 변경이 진행되어 스핀다이아 커팅장비, 강화유리 가공전용기 등 다양한 분야의 가공전용기 수요가 증대되고 있습니다.
<2> LED조명시장
세계적 각국들은 환경오염으로 인하여 에너지 절감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기존의 백열등 및 형광등, 할로겐등의 사용을 억제하고 있으며, 국가별로 에너지 효율이 좋은 LED조 보급을 위하여 범국가적으로 정책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LED전구는 에너지효율이 매우 좋아 기존 전구대비 최대 90%이상 까지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으며, 수은이나 형광물질이 없는 친환경 제품입니다. 이에 따라 전기요금이 국내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싼 선진국을 중심으로 친환경 초절전 제품을 선호하고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1> CNC전용장비
핸드폰 LCD윈도우, 알루미늄 케이스 다이아커팅, LCD/PDP TV프론트 판넬, 사인아크릴등 주요 목표시장에서 요구하는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 공급하고 있으며, 현제품에 대한 추가적인 UP-GRADE로 한층더 안정적이며, 생산성 높은 기계로 계속적인 CNC전용장비시장의 우위를 지켜나가고 있습니다. 점차 대형화되어가고 고정밀화 되어가는 CNC전용장비 시장에 맞춰 효율적인 생산라인 관리와 생산인원 관리로 생산원가의 절감 및 제품 품질 개선을 이루어 나가고 있습니다.
당사의 CNC전용장비의 주요 목표시장별 세부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최근에는 다양한 비철금속, 플라스틱 합금 신소재 등의 개발과 새로운 제조 기술로 인해 기존의 전통적인 금속가공분야 외에 신규 가공분야가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가공성능에 있어서 공작기계의 경우 금속 금형가공 등에 있어서는 CNC전용장비에 비해 우수하나 비철금속, 플라스틱 계열의 가공에는 가공속도 등 생산성 면에서 CNC전용장비에 비해 열세입니다. 그 이유는 스핀들 모터 Power는 크나 회전속도인 RPM이 낮아 금속의 중절삭 저속가공에는 유리하나 비철금속의 경절삭 고속가공에는 불리합니다. 이런 가공분야에서 대형공작기계에 비해 장비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생산성도 높일 수 있는 CNC전용장비의 사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둘째, 기존에 수동작업에 의존하던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CNC전용장비를 사용하여 부가가치 높은 신규 사업아이템을 지속적으로 개발, 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수동작업을 할 수 있는 인력이 노령화되고 3D직종으로 인식되고 있어 젊은 인력의 충원이 이루어 지지 않고 있어 향후 자동화시스템을 도입할 수 밖에 없는 단계입니다. 이런 분야의 경우 대부분이 소규모 사업체들로써 고가의 대형공작기계를 구입할 수 없는 상황이고 고도의 숙련공이 필요 없이 초보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CNC전용장비를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건축모형, 고무라벨조각, 아크릴Sign 조각, Mock-up, 귀금속/액세서리, 명판 등 다양한 분야에서 CNC전용장비 라인을 설치하여 작업을 자동화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소량 다품종 생산을 계획하는 많은 분야에서 자동화된 생산기법을 적용하여 고품질의 제품을 빠른 속도로 생산함으로써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셋째, 최근에는 제품의 성능은 기본이고 제품의 디자인이 제품 선택의 기준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디지털 가전제품의 경우 제품의 디자인은 가장 중요한 경쟁 요소입니다. 그러므로 기본적인 금속 금형 뿐만 아니라 외관을 장식할 수 있는 부품 등에 많은 신경을 기울이고 있으며 차별화하려고 합니다. 휴대폰을 예를 들면 1~2개의 히트모델을 내기 위해 수십개의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런 수십개의 모델을 모두 고가의 금형을 만들어 디자인을 선택할 수는 없고 플라스틱에 다양한 디자인을 Mock-up으로 제작하여 확인한 후 몇 모델을 선정하여 금형작업을 하고 대량생산을 준비합니다. 이런 플라스틱 Mock-up작업은 대부분 CNC전용장비에서 하고 있어 관련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또한 이렇게 선정된 히트모델의 몇백만대의 대량 생산할 경우도 사출금형을 통한 사출품이 아닌 고급 장식부품 가공을 통한 디자인 차별화를 이루기 위해 전용가공장비 개념의 CNC전용장비의 수요는 매우 폭 넓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넷째, 대형 플라스틱 가공 분야의 급속한 시장 성장으로 대형 CNC전용장비 시장의 전망이 매우 좋습니다. 물론 대형 공작기계(특히, Machining Center)도 있으나 가격이 동급의 CNC전용장비에 비해 2~3배 이상 고가이므로 비철금속, 플라스틱 위주의 가공하는 분야의 경우 현재 대부분 대형 CNC전용장비를 사용하는 추세입니다. 이런 분야의 대표적인 분야가 PDP/LCD TV 아크릴 판넬 가공과 아크릴Sign 가공분야 입니다. 향후 큰 폭의 성장이 기대되는 PDP/LCD TV 제품은 LG, 삼성, Sony 등이 좀 더 Flat하게 제품을 디자인하기 위해 TV 전면 판넬에 실크 인쇄한 얇은 아크릴 판넬을 부착하는 추세입니다. 이런 디자인 추세에 따라 PDP/LCD TV 생산량이 증가할수록 대형 CNC전용장비 판매가 증가할 것입니다. 또한 기존의 Sign 간판 시장은 도시 미관에 좋지 않은 대형 파나플렉스 간판이 주종이었으나 점차 입체화된 고급 잔넬 간판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CNC전용장비로 아크릴, 포맥스, 인조대리석 등의 소재에 입체 조각을 함으로써 부가가치 높은 가공분야로 Sign시장의 추세가 이동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기존의 Sheet Cutting이나 실사출력 등 2차원적인 간판 등은 경쟁이 가열되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대부분 관련 업체들이 대형 CNC전용장비를 응용하여 새로운 Sign 아이템을 개발하고 있는 초기 단계로 앞으로 지속적인 고성장이 예상되는 분야입니다.
다섯째, 핸드폰, PMP 등 디지털 기기의 부품 소재 다양화 추세에 발맞춰 새로운 부품 가공 전용 장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핸드폰 키패드가 기존의 플라스틱 사출 키패드에서 슬림폰으로 디자인이 변화함에 따라 0.3mm 정도의 인청동이나 0.4mm 정도의 PC(Poly Carbonate)판으로 부품 소재가 변경되고 있습니다. 또한 TV 시청할 수 있는 DMB폰의 성장과 더불어 좀 더 넓은 LCD 윈도우 적용이 필요하므로 기존의 아크릴 소재에서 흠집에 강하고 투과율이 높은 강화 유리 소재로 LCD 윈도우 부품을 채택하려는 경향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아크릴 LCD 윈도우 장비만 보급되어 있는 상황이므로 향후 강화 유리 가공용 전용장비를 개발한다면 새로운 장비 수요처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여섯째, 2005년도 하반기에 개발 완료한 레이저 가공기의 수요처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기존에 미국, 유럽의 고가 수입 레이저 가공기나 대만, 중국의 중저가 레이저 가공기가 국내에 주로 판매되고 있었으나 신속한 A/S 대처 능력 부족으로 국내 소비자들의 불만이 많았습니다. 현재 자사는 소비자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반영한 레이저 가공기 전용 Controller Software를 개발하고 외국 레이저 에이전트와는 다른 신속한 A/S 등을 내세워 신규 고객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2006년도부터 내수 시장 판매 확대에 주력하였으며 아크릴 가공용 레이저가공기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하고 지속적인 장비 업그레이드를 통해 세계 시장에서도 경쟁력 있는 장비를 생산하여 수출 주력 모델로 성장시킬 계획입니다.
<2> LED조명
당사는 2005년말 차세대 광원 LED를 이용한 조명제품 "LumiSheet"를 개발 출시하였습니다. 오늘날 국내외를 막론하고 산업 전반에 걸쳐 LED의 적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LED는 수명이 약 100,000 시간(형광등의 100배)에 이르러 가히 반영구적이라 할 수 있고, 전력소비량이 백열전구의 약 20% 수준밖에 되지 않을 뿐 아니라 다양한 색상 연출이 가능하기에 획기적인 차세대 광원으로 불립니다. 당사는 이러한 시장의 흐름을 미리 파악하고 당사의 V-cutting 도광판에 LED를 삽입한 일체형 LumiSheet를 개발 완료하였습니다. 이는 향후 급속도로 제품의 상용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인테리어조명시장, 건축조명시장, 옥내외 광고 및 일반조명시장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해나갈 수 있는 시장 선점의 발판을 구축하였습니다.
또한, 2007년에 개발완료한 LED전구 "Lumidas"는 전구형으로 3W~90W까지 50여종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기존 백열등, 할로겐, 나트륨등, 메탈등등 대체적용시 최대 90%이상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LED 가격 또한 급격한 하락추세에 있어 당사의 LED조명은 실내 인테리어조명용부터 일반 조명시장뿐 아니라 기타 산업 전분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제까지 구축한 국내외 판매망 뿐만 아니라, 특화된 기술력과 축적된 경험 등을 적극 활용하고 지속적인 신규시장 개척을 통해 당사는 LED조명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성장해나갈 것입니다.
- 경쟁상태 : 당사는 3W급부터 90W까지 다양한 LIGHTPANEL 및 LED전구를 생산하고 있으며,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LED전구와 비교하면, 시중에 나와있는 제품은 저와트급(10W미만)으로서 단순 조립제품에 지나지 않지만, 당사의 제품은 LED전구의 방열의 문제를 해결하여 제품화에 성공함으로써 LED조명의 상용화를 앞당겼습니다. 10W급이하 제품에 대해서는 시장에서 경쟁상태에 있으나, 제품의 안정화와 판매단가 차이가 많아 제품 안정화를 요구하는 일본시장 및 선진국시장에서 당사 제품의 경쟁력이 돋보이고 있습니다.
- 수급실적 및 전망 : LED전구는 에너지효율이 매우 좋아 기존 전구대비 최대 90%이상 까지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으며, 수은이나 형광물질이 없는 친환경 제품입니다. 이에 따라 전기요금이 국내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싼 선진국을 중심으로 친환경 초절전 제품을 선호하고 있어, 당사제품의 수급에 좋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제품가격동향 : 당사의 LED 조명제품은 면광원부터 일반조명 대체용과 할로겐등 디스플레이 조명등을 대체하는 제품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군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에따라 LED원재료 조달에 있어서도 다양한 제품군 보유에 따라 원재료가 타업체에 비해 저렴하게 조달받고 있어, 판매가액에도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든 생산시설도 당사가 자체제작하여 양산함으로써 원가절감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일본내에서 기존조명과 대체용 당사LED조명 가격을 비교하면 2배~3배가량 비싸지만, 경쟁제품과 비교시 당사 제품이 경쟁제품 판매가격의 1/3가량 밖에 되지않아 판매가격측면에서도 우위에 있습니다.
- 자사제품의 특장점 : LED를 조명으로 사용하기위해 전구크기의 방열판에 장착할 경우 LED에서 고열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LED의 수명은 4만~5만시간을 사용한다고하나, 발열부분에 대해 방열을 하지 못할 경우 LED수명은 1만시간이하로 급속도로 수명이 줄어듭니다. 당사는 이런 LED조명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코일에 의한 방열구조를 개발하게 되었으며, 이를 적용하여 현재 72W급 제품까지 개발완료하여 시판하고 있습니다. 당사 LED조명의 가장 큰 특징은 자연방열 상태로(상온 + 25도내외)의 온도를 유지하여 기존 팬에 의한 방열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였으며, 제품 설치후 4만~5만시간 동안 별도의 유지관리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될 정도로 안정적인 제품입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사업부문 | 표준산업분류코드 | 사업의 내용 | 주요제품 |
---|---|---|---|
제조업 | D29399 | 그외 기타 분류 안된 특수목적용 기계 제조업 | CNC 전용장비 LED조명 |
(2) 시장점유율 등
① CNC 전용장비 사업부문
현재 CNC전용장비는 공작기계의 한 분야로 공식적인 자료의 부재로 인해 각 업체별 시장점유율 산출이 불가능합니다.
당사의 주요 경쟁업체는 ㈜하림기공, 메카니아㈜, ㈜다나테크, 세미콘, 외산수입장비
등으로 당사추정자료에 따르면, 당사가 40%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으며, 핸드폰 및 LCD/PDP등의 디지털 전자부품산업시장과 아크릴 SIGN 가공시장등의 확대, 새로운 시장의 개척으로 인해 CNC전용장비 시장은 계속적으로 확대될 것입니다. 또한 대형TV판넬 부품가공과 알루미늄케이스 다이아커팅분야, 아크릴 SIGN분야의 가공용 장비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당사는 관련 산업의 성장과 함께 시장점유율을 확대할수 있을것으로 전망합니다.
② LED조명
LED조명은 시장점유율에 관한 객관적인 자료가 없는 상황이며, 정확한 시장 규모와 해외 경쟁업체의 정확한 매출액 파악이 어렵고, 시장 또한 전세계에 걸쳐 광범위 하기에 시장 점유율을 정확하게 파악이 어렵습니다.
2007년부터 당사는 "LumiSheet"와 "Lumidas" 제품을 바탕으로 일반조명시장에 진출하였습니다. 이는 현재 시장 형성초기 단계인 LED조명시장으로의 진출을 의미하며, 향후 조명시장을 이끌어갈 LED조명시장을 선도하는 역할을 할수 있을것으로 예측합니다.
[국내외 LED조명 시장 규모]
구분 | 2004년 | 2010년 | 2015년 |
국내(억원) | 6,250 | 32,500 | 154,064 |
해외(억불) | 165 | 422 | 1,000 |
- 출처: 한국光기술원 추정, 미국 Strategics Unilimited('06.2)
(3) 시장의 특성
1. CNC전용장비
당사는 CNC전용장비 및 PCNC Controller를 개발, 생산, 판매하고 있습니다.
수요처의 다양한 요구사항에 신속히 대응하여 현재 약 30 여종 이상의 CNC전용장비가 개발되어 관련 산업 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컴퓨터 응용기술의 발전과 함께 기존의 수동 작업에 의존하여 생산하던 거의 모든 분야에서 당사의 CNC전용장비를 도입함으로써 품질과 생산성 측면에서 획기적인 향상을 달성하고 있습니다. 고가의 CNC Machining Center, 고속가공기 등이 대기업 중심의 판매 위주였다면 당사의 CNC전용장비는 매우 효율적인 자동 가공기술을 다양한 중소산업분야에 접목시켜 그 사용분야를 광범위하게 확대시켜 나가고 있습니다. 판매 분야로는 핸드폰 LCD윈도우, 알루미늄 케이스 다이아커팅, LCD/PDP TV 프론트판넬, Sign/인테리어, Mock-up, 귀금속/악세사리, 악기, 건축모형, 금형조각, 흑연/세라믹, 명판, 전자지그, 학교/연구소 등 산업전반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2. LED조명
현재 당사의 주요 목표시장은 일본, 미주, 유럽 등 주로 선진국 시장이며, 이미 유럽이나 일본 등지에선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어 자연스럽게 매출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최근 국가별로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LED조명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아직은 주 타겟을 선진국 시장으로 삼고 있으나 중국을 비롯하여 인도, 러시아, 동유럽 등도 경제규모가 커짐에 탄소배출에 대한 규제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당사 제품 판매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 제품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 실내인테리어 조명용 및 생활조명용, 가로등, 할로겐 대체용등 직접조명으로서 활용 영역을 확장시키고 있습니다.
출처 : http://www.ibokorea.co.kr/tt/entry/CNC%EC%A0%84%EC%9A%A9%EC%9E%A5%EB%B9%84%EC%99%80-LED%EC%A1%B0%EB%AA%85%EC%9D%84-%EC%83%9D%EC%82%B0%ED%95%98%EB%8A%94-%ED%99%94%EC%9A%B0%ED%85%8C%ED%81%AC